용서는 없다











요즘 한국 영화를 보면서 소재의 한계를 느낀다.
그리고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안타깝다.
보통 범죄 스릴러라면 가족과 연관된 살인사건이나
원한 관계로 주인공은 형사나 수사와 관련되는 인물이 된다.
미국드라마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과학적인 증거에 의하여 범인을 쫓는 형식이다.
그리고 잔인하게 시체를 난도질 한다거나
핏물이 스크린을 흥건히 적시는 신은 필수적으로 등장한다.
‘백야행’, ‘시크릿’, 그리고 이번에 본 ‘용서는 없다’가 그런 류의 영화다.
그런데도 봐줄만 한 것은 시종 시나리오가 탄탄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의 반전도 예전의 영화와는 다르다.
‘용서는 없다’는 설경구라는 배우 때문 선택한 영화다.
설경구는 예전의 작품에서 관객을 실망 시킨 적이 없기 때문이다.
‘박하사탕’, ‘실미도’, ’공공의 적‘, ’강철중‘, ’오아시스‘, ’광복절특사’, 최근의 ‘해운대’까지 그의 연기는 강하고 개성이 넘치는 역할이다.
역으로 밀히면 그에게는 밝은 역할이 없다.
내가 그의 팬이 된 건 ‘박하사탕’이 처음이었고,
‘오아시스’에서 정신지체아를 사랑하는 역할을 감칠 맛나게 해 내는 것을 보고
내공이 깊은 배우라는 것을 알았다.
‘용서는 없다’에서 류승범과의 두뇌 싸움을 벌이는
과학수사대의 부검의 역할은 거의 정형화 된
그의 막무가내 덤비기식 연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었다.
단연 능글맞으면서도 시니컬한 류승범의 연기가 빛났고...
한혜진은 너무 곱게만 연기한 건지 역할이 어릿두릿 한 건지...
마지막 설경구가 권총으로 자살하는 장면을 지켜보기만 하는 설정이
너무 어색했다.
“죽음보다도 더 참기 어려운 것은 ‘용서’”라는 대사에서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고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는 설정은
의문으로 남는다.
한번 더 반전시켰더라면 통쾌한 스릴러물이 될 수 있었을 텐데
이게 한국 영화의 한계인가?
극장문을 나서면서 뒤맛이 개운칠 못했다.

